아주 간단한 옵션인데.. 구글한테 물어봐도 시원한 답변이 없고.
테스트해보니 문제없이 다 잘되긴하는데.. 아파치 2.2.9의 버그로밖에 생각할 수 없따아.
https://issues.apache.org/bugzilla/show_bug.cgi?id=45221
사내직원이 100명이 넘어가면서 imap(메일관련데몬)의 접속이 많아져서
가끔 아래와 같이 /var/log/messages 에 에러를 내뱉는다.
우선 inetd의 데몬옵션을 확인
ps aux | grep inetd
기본값으로 데몬이 떠 있는것...
-C 옵션은 max-connections-per-ip-per-minute 로 동일IP에 대해서 동일포트의 1분간 설정회수란다..
좀더 높여보자(imapd를 사용하는 웹메일에 문제가 있나?)
이왕 -R 값도 좀 높여보자..
일단 기존 inetd를 죽이고..
kill -9 624
재가동한다.
그리고,
/etc/rc.conf 에 inetd_flag추가해주는 센쓰~
inetd_flag="-wW -C 256 -R 2048"
vi /boot/loader.conf 에
커널옵션에
최신 아파치(현재는 2.2.8) 을 가져와서 소스를 푼다.
PHP를 동적으로 컴파일해야 하기때문에 --enable-so는 반드시 있어야한다.
그외 옵션추가는 ./configure --help 로 참조한다.
설치디렉토리는 --prefix 의 경로로 변경이 가능하다.
위의 과정으로 아파치 컴파일은 완료!
FreeBSD 6.x 의 경우 기본적으로 perl이 설치안되어 있으므로 perl을 설치하는것이 좋겠다.
make install
최신의 PHP 소스롤 가져다가 푼다.
아파치 설치된 경로로 apxs 를 지정한다.
그외 gd를 설치하거나 기타 옵션을 주려면, 마찬가지로 ./configure --help를 참고한다.
인스톨후
PHP 5.2.5 (cli) (built: Nov 5 2007 16:11:19)
Copyright (c) 1997-2007 The PHP Group
Zend Engine v2.2.0, Copyright (c) 1998-2007 Zend Technologies
아파치 설치 디렉토리에서
vi /usr/local/apache2/conf/httpd.conf
후에 아래를 추가한다.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그외 아파치 설정파일은 아파치 문서를 참고한다.
.php 외의 확장자나 다른확장자로 php 스크립트를 만드려면 뒤에 추가해도 된다.
ex)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html .phps
아파치를 구동한다.
늘상있는대로 컴파일을 시도했다.
1.3.0 에서는 나오지 않는 에러가 나오는군... 뭔가 호환이 안되나...
Stop in /usr/local/proftpd-1.3.1rc3/modules. Stop in /usr/local/proftpd-1.3.1rc3.
gcc -DHAVE_CONFIG_H -DFREEBSD6_2 -DFREEBSD6 -I.. -I../include -I/usr/local/mysql/include/mysql -O2 -Wall -c mod_sql_mysql.c
mod_sql_mysql.c: In function `cmd_defineconnection':
mod_sql_mysql.c:598: error: missing terminating " character
*** Error code 1
*** Error code 1
따옴표문제가 설마...
일단 에러소스를 찾아보자.
vi ./contrib/mod_sql_mysql.c
598번째 라인이라... 헉!
pr_log_pri(PR_LOG_WARNING, "warning: the mod_sql_mysql module has not been sql_log(DEBUG_FUNC, "%s", "The mod_sql_mysql module has not been properly " |
뭐야.. 뭔가 이상하다... text를 그냥 엔터를 쳤네? 따옴표는 뭐양?
pr_log_pri(PR_LOG_WARNING, "warning: the mod_sql_mysql module has not been \ sql_log(DEBUG_FUNC, "%s", "The mod_sql_mysql module has not been properly \ |
위와 같이 고치고 컴파일을 해봤따아..
잘된다.. -.-;;
조금 예전서버 혹은 해당 장치가 없는것은 이런장치를 연결하면 훌륭하게 원격으로 조정하면서
관리할 수 있다. 물론 비싸긴하지만 70만원선..
생각보다 작은크기~
뒷면에는 LAN연결과 장비셋팅하거나 서버(PC)와 직접연결하는 곳이 있다.
PC라고 씌여있는곳에 서버의 VGA와 키보드/마우스를 연결한다 물론 멀티짹이 있다.
해당 장비를 모니터와 연결해서 셋팅하는 메뉴화면 .
쉽게 관리 랜셋팅이나 비번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 IP로 설정한 IP로 웹접속시 인증을 거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현재 서버(PC)의 화면을 썸네일 형태로 보여준다.
썸네일 이미지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직접 서버컨트롤이 가능하다.
위의 화면은 원격지의 서버의 cmos화면에 들어가서 셋팅하는 모습이다.